골프에서 기어 효과(이펙트)란?
우선 기본 물리 개념인 기어효과의 개념을 살펴보면,
**기어 효과의 기본 개념**
맞물려 있는 두 개의 기어를 생각하면 쉽습니다. 한쪽 기어의 톱니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닿아 있는 톱니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계적 원리를 이야기합니다.
골프에서의 기어 효과(Gear Effect)는 골프 클럽의 페이스가 볼에 임팩트될 때 회전(스핀)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클럽 헤드의 중심(스위트 스폿_Sweet Spot)이 아닌 곳에서 맞닿을 경우 볼의 회전이 변형되어 의도하지 않았던 구질의 샷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개념
골프 클럽의 헤드는 2가지 축의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힐에서 토우까지 이어지는 곡면(벌지, Bulge)과 크라운에서 솔까지 이어지는 곡면(롤, Roll)입니다. 볼이 정중앙에 맞지 않는 경우, 이 두 가지 곡면에 의해 클럽 헤드와 볼 사이에서 기어처럼 맞물리는 현상인 기어 효과가 일어납니다.
기본적으로는 벌지의 위치에 따른 수평적 기어 효과(Horizontal Gear Effect)를 이야기 하며, 이경우 맞는 위치에 따라 볼에 '사이드 스핀'이 발생하여 볼의 궤도에 변화가 생깁니다.
2. 기어 효과의 원리
- 아무래도 헤드가 크고 헤드스피드가 더 높게 발생(큰 힘이 작용하는)하는 우드류 클럽에서 더 크게 일어납니다.
- 그래서 위 그림과 같이 아이언과 다르게 유틸리티, 우드, 드라이버로 갈 수록 페이스 면에 곡률을 두어 기어효과를 감소시켜 관용성을 높입니다.
- 아래 그림은 이러한 원리와 같이 볼이 맞는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기어 효과를 쉽게 보여줍니다.
- 볼이 토우(Toe, 페이스 바깥쪽)에 맞는 경우, 클럽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볼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드로우 궤적을 만들어냅니다.
- 볼이 힐(Heel, 페이스 안쪽)에 맞으면 클럽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볼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페이드 궤적을 보입니다.
-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이러한 볼의 궤적(구질)을 더욱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 이러한 효과의 원인은 기본적으로 클럽 페이스와 볼이 맞닿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 때문입니다. 정중앙에 맞지 않는 이상, 클럽 페이스가 볼을 가격하는 순간의 충격으로 페이스는 뒤틀림이 발생하며, 페이스면에서 위치가 다른 힐과 토우 부분에 맞는 순간 각각 기어가 맞물리는 현상이 생겨납니다.
- 아래 사진은 아이언의 임팩트 전후로 볼이 페이스면에 맞는 위치(토우, 힐)에 따른 헤드의 뒤틀림을 보여줍니다.
3. 수직적 기어 효과(Vertical Gear Effect)
- 수직적 기어 효과(Vertical Gear Effect)는 클럽 페이스의 세로면인 롤면에서의 임팩트 위치에 따른 볼의 움직임을 설명합니다. 기본적으로 롤면 역시 곡률이 있고 로프트도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볼이 맞는 위치에 따라서 탄도가 달라지고, 마찬가지로 기어효과에 따라서 스핀의 양이 달라진다. 이때 사이드 스핀은 고려하지 않고 수직적 임팩트 위치에 따른 백스핀의 정도만 이야기합니다.
- 롤면은 벌지와 달리 위아래 폭이 좁고 샤프트가 꼽혀 있는 부분이 위쪽이기에 보다 중심이 위쪽으로 잡혀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쪽에서 임팩트가 일어날수록 기어 효과는 커지게 됩니다.
- 롤면의 아래쪽에 맞으면 볼의 탄도는 낮아지며, 기어효과가 강하게 발생하여 백스핀의 양이 늘어납니다.
- 반면 롤면의 위쪽에서 임팩트가 일어나면 탄도는 높아지며, 기어효과 상대적으로 작아 백스핀의 양은 줄어들게 됩니다.
* 물론 레벨 스윙인지, 어퍼블로가 강한 스윙인지, 다운블로형 스윙인지에 따라서 이러한 결괏값은 달라집니다.*
기어 효과(이펙트)의 활용
- 이러한 기어 효과를 통해 우리는 구질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의도적인 드로우(Draw Shot)이나 페이드(Fade Shot)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대로 안정적인 구질을 만들기 위한 볼의 회전이 발생을 최적화하기 위해 클럽 페이스의 스위트 스폿에 맞추는 교정 연습에도 활용을 할 수 있습니다.
*가령 드로우 샷을 치고 싶으신 분은 클럽 페이스에서 내 볼이 어디에 맞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낮은 백스핀과 좌스핀이 필요한 드로우 샷은 넥 아래쪽인 보라색 영역에서 임팩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구현이 어렵겠죠?
- 위 그림은 드라이버 헤드 페이스를 가운데 스윗 스폿을 중심으로 4 등분 한 그림입니다. 정면으로 바라보고 왼쪽 위에 위치한 붉은색 면은 백스핀이 적고 좌스핀이 강하게 걸리는 부분으로 백스핀을 줄여 런이 많이 일어나는 드로우 샷(Draw Shot)에 가장 이상적인 스폿입니다.
- 반면, 오른쪽 아래에 위치한 보라색 면은 백스핀과 우스핀이 높게 발생하여 정확도가 높은 페이드 샷(Fade Shot) 구현에 이상적인 스폿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해당 면 안에서도 가장 이상적인 스폿은 존재하며 극단적인 토우 쪽 샷과 힐 쪽 샷은 볼의 방향성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나오며
오늘은 볼이 클럽 페이스에 임팩트 될 때 발생하는 기어 효과(Gear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해드리려 하였는데, 잘 이해가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기어 효과를 이해하시고 각 구질 연습을 통해 코스 공략을 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매니지먼트를 하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최근 각 구질 구현의 성공률이 많이 올랐는데, 반드시 주 구질의 연습을 더 충분히 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꼭 본인의 주 구질의 완성을 우선으로 하시되, 굿 미스를 할 수 있는 곳에서 반대 구질을 적절히 사용하신다면 더 좋은 스코어를 기록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화이팅!!
'골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스윙) 라이트사이드 스윙(RSS)에 대한 연습과 고찰_#3 (1) | 2025.03.16 |
---|---|
쉬운설명) 페이드샷과 드로우샷의 개념과 적용(Fadeshot & Drawshot_샷메이킹과 골프스윙에 따른 공략) (0) | 2025.03.03 |
쉬운설명) 퍼터(putter)의 종류(헤드, 넥)와 스트로크 차이 그리고 선택방법(블레이드-말렛과 플러머-센터넥)_#2 (0) | 2024.11.21 |
쉬운설명) 퍼터(putter)의 종류(헤드, 넥)와 스트로크 차이 그리고 선택방법(블레이드-말렛과 플러머-센터넥) (1) | 2024.11.20 |
쉬운설명) 퍼팅 그린에서의 규칙 및 에티켓과 홀인(Hole-in) 판단 규정(골프 규칙_퍼팅 시 벌타 규정, 루스임페디먼트, 김효주 퍼팅 논란)_2편 (3) | 2024.11.05 |